함께 성장하는 교육복지
꿈·도전·동행의 행복 충주교육! 모두가 행복한 배움의 터전을 만들겠습니다.
충청북도충주교육지원청 주요업무계획
2021년도 주요업무계획에 대한 자세한 사항을 보고싶으신 분은 다운로드를 받으세요.
아이꿈이 성장하는 행복유아교육
- 행복한 성장을 돕는 유아 · 놀이 중심 교육 강화
- 현장 중심 맞춤형 지원으로 유아교육 공공성 강화
행복한 성장을 돕는 미래형 유치원 교육과정
- 2019 개정 누리과정 안착 지원
- 교육과정 및 방과후 과정 컨설팅 - 유치원 교육과정 편성·운영 지원
- 유치원 교육과정 운영지원단 조직·운영 - 유치원 미래교육 체계 구축 및 운영 지원
- 원격수업 대비 시설·설비 구비 안내 및 기자재 활용을 위한 교원 연수 지원 - 유아 성장과 발달을 돕는 과정 중심 평가 운영
- 현장 지원 중심 맞춤형 장학 지원
- 유치원 맞춤형 장학지원단 구성·운영
참여와 소통의 유치원 교원 역량강화
- 유아교육 교원의 전문성 신장 연수
-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 운영 및 컨설팅
- 유아교육 전문적학습공동체 운영 활성화
- 유치원 간 전문적학습공동체 지원: 원감단 전문적학습공동체(북부권),소규모유치원 간 전문적학습공동체, 사립유치원 전문적학습공동체 - 신규 및 저경력 교사 멘토링제 운영
- 지구별 자율장학 협의회 조직 운영 - 중심유치원 3개원, 분기별 1회 자율장학 운영
유치원 맞춤형 방과후과정
- 쉼과 놀이 중심 방과후 과정 운영 내실화 지원
- 유치원 방과후 과정 운영 지원
- 유치원 돌봄교실 운영 지원
- 유치원 방과후과정 및 돌봄교실 운영 지도 및 컨설팅
유아교육 공공성 강화
- 유치원입학관리시스템 「처음학교로」 운영 지원
- 유치원 안심교육 환경 조성: 안심유치원 운영 지원
- 유아교육 행복지구 네트워크 구축 운영: 국원유치원 중심
- 유치원 행복나누미 운영 지원
- 소규모 교육활동 중심유치원 운영
- 학부모교육 중심유치원 운영
예산 운영 계획
(단위: 천원)
추진사업 | 예산 | 집행액 | 비고 |
---|---|---|---|
행복한 성장을 돕는 미래형 유치원 교육과정 | 0 | ||
참여와 소통의 유치원 교원 역량강화 | 2,210 | ||
유치원 맞춤형 방과후과정 | 0 | ||
유아교육 공공성 강화 | 18,000 | ||
계 | 20,210 |
기대효과
- 2019 개정 누리과정 안착 지원으로 유아·놀이중심 교육 실현
- 유치원 교원 역량강화를 통한 수업 역량 강화 및 전문성 신장
- 일, 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맞춤형 방과후 과정 운영으로 학부모의 육아부담 완화
- 모두가 만족하는 교육복지 실현으로 유아교육 공공성 강화
통합과 자립의 특수교육
- 현장중심 맞춤형 지원체제 구축으로 통합교육 및 특수교육 지원 내실화
- 장애특성별 맞춤형 지원으로 공정한 교육기회 보장 및 행복한 특수교육 구현
통합교육 및 특수교육 지원 내실화
- 특수교육 대상자 개별화교육계획 내실화
- 연 2회 이상 개별화교육계획 점검을 통한 개별화교육 지원 - 유치원 통합교육 거점센터 운영
- 통합교육 실시 유치원에 대한 지원 강화 - 통합교육지원단 운영
- 현장의 요구와 장애유형별 특성에 따른 신속한 지원
- 통합교육관련 프로그램 지원 및 교원전문성 강화 - 현장중심 특수교육 맞춤형 장학 운영
- SOS 멘토링 운영
- 교사간 정보와 자료 공유 등을 위한 자생적 특수학급 수업연구 운영 활성화 - 특수교육 교원의 전문성 신장
- 특수교육교원 역량강화 연수 운영
- 통합학급 담당교사 지원
- 특수교육 전문적학습공동체 운영 - 특수교육대상자를 위한 순회교육 운영(유·초·중·고)
- 특수교육 단기수업지원 운영
- 특수교사 부재 사유 발생에 따른 순회교사 운영 - 특수교육대상 건강장애학생 교육지원
- 원격수업 운영 지원 강화 및 학교복귀프로그램 운영 지원
특수교육 환경 및 교육여건 개선
- 특수교육대상학생 진단·평가
- 특수교육대상자 진학 및 선정배치, 장애명 변경을 위한 진단·평가 지원 - 특수교육운영위원회 운영
-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선정·배치 등 특수교육 발전에 관한 사항 심의 - 보조공학기기, 학습보조기기 지원을 통한 장애학생 학습 기회 확대
- 노후 특수학교(급) 현대화 사업 추진
- 특수교육 보조인력(특수교육실무사, 자원봉사자, 사회복무요원) 운영 지원
- 특수교육 맞춤형방과후학교 운영 지원
- 특수교육 맞춤형 방과후학교 프로그램, 종일반, 유치원 통합형방과후학교 운영 지원 - 특수교육대상학생 치료지원 및 특수교육관련 서비스 지원
- 치료지원 제공기관 선정, 치료바우처 지원
- 특수학교 위탁치료 및 순회치료지원 서비스 제공 - 특수교육대상학생 통학비 지원
- 유·초·중 특수교육대상자 신청 및 지원(버스요금 기준)
인권감수성 함양 및 긍정적행동 지원
- 특수교육대상자 인권보호교육 지원
- <찾아가는 인권교육> 운영 - 특수교육대상자 인권지원단 운영
- 장애학생의 인권침해 예방을 위한 정기·특별지원
- 더봄학생을 위한 집중심리상담 지원 - 특수교육대상자를 위한 찾아가는 성교육을 통한 자기존중 능력 향상
- 긍정적 행동지원단 운영
- 특수교육대상학생 행동중재 방법 등 컨설팅
- 가족 및 전문가 협력을 통한 문제행동 예방 및 조기 대처 지원
특수교육대상자 성공적 사회통합
- 장애유형 및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진로체험 지원
- 지역사회 유관기관 간 협력체제 구축
- 초ㆍ중ㆍ고 특수교육대상학생 통합캠프 프로그램 운영
- 장애학생 가족 상담 및 가족지원프로그램 운영
- 특수학교 자유학기ㆍ학년제 내실화 운영 지원
예산 운영 계획
(단위: 천원)
추진사업 | 예산 | 집행액 | 비고 |
---|---|---|---|
통합교육 및 특수교육 지원 내실화 | 28,840 | ||
특수교육 환경 및 교육여건 개선 | 1,219,500 | ||
인권감수성 함양 및 긍정적행동 지원 | 0 | ||
특수교육대상자 성공적 사회통합 | 10,100 | ||
계 | 1,258,440 |
기대효과
- 현장중심맞춤형 지원체제 구축을 통한 통합교육 내실화
- 특수교육 교원의 역량강화를 통한 전문성 신장과 수업 역량 강화
- 특수교육대상학생자 맞춤형 교육환경 조성을 통한 교육만족도 제고
- 장애학생 인권지원 활성화를 통해 장애학생 인권보호 및 인권침해 예방
- 특수교육대상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특수교육 관련 서비스 지원으로 함께 행복한
- 특수교육 실현
- 특수교육 보조인력 지원으로 특수교육 기회 확대
- 장애유형과 장애정도에 맞는 진단·평가 및 선정·배치로 맞춤형 교육지원
미래희망 더하기 방과후학교
- 다양한 방과후학교 교육프로그램 운영과 돌봄서비스 제공
- 지역자원을 활용한 마을방과후학교 및 지역돌봄교실 운영
꿈과 희망을 더하는 방과후학교
- 농산촌 방과후학교 운영 지원
- 읍·면지역 초등학교(20교), 중학교(10교), 고등학교(2교) - 도시지역 방과후학교 활성화 지원
- 동지역 초(17교), 중(9교), 고(9교) 중 신청교 - 행복한 방과후학교 우수프로그램 운영 지원
- 초·중학교 중 신청교 선정 지원 - 저소득층자녀 및 다자녀 방과후학교 자유수강권 지원
- 1인당 연간 60만원 지원 - 사교육비 경감 대책 추진
- 사교육경감을 위한 학부모 연수 실시
방과후학교 내실화를 위한 지원체제
- 방과후학교지원센터 기능 강화
- 방과후학교지원센터 홈페이지에 방과후학교 운영 정보 제공
- 방과후학교 외부강사 인력풀 등록관리 - 방과후학교지원센터 기능 강화
- 방과후학교지원센터 홈페이지에 방과후학교 운영 정보 제공
- 방과후학교 외부강사 인력풀 등록관리
온 마을이 함께하는 초등돌봄교실
- 오후·저녁·방과후 연계형 초등돌봄교실 운영 지원
- 오후 51실, 저녁 1실, 방과후 연계형 4실 운영 지원 - 초등돌봄전담사 역량강화 연수 실시: 상반기
- 돌봄교실 시설 구축 및 노후시설 개선
- 돌봄교실 학급수 증설 및 노후시설 개선 신청학교 지원
예산 운영 계획
(단위: 천원)
추진사업 | 예산 | 집행액 | 비고 |
---|---|---|---|
꿈과 희망을 더하는 방과후학교 | 573,800 | ||
방과후학교 내실화를 위한 지원체제 | 4,510 | ||
온 마을이 함께하는 초등돌봄교실 | 0 | ||
계 | 578,310 |
기대효과
- 학생 중심의 다양하고 창의적인 교육 경험 제공으로 꿈과 재능을 지닌 인재 육성
- 학교 여건에 알맞은 사교육 수요의 교내 흡수를 통해 사교육비 경감
- 방과후학교 컨설팅을 통한 다양하고 특색있는 프로그램 운영으로 학생, 학부모 만족도 제고
- 방과후학교 외부 강사 인력풀을 활용한 서류 간소화 및 학교 업무담당자 업무경감
- 학교 내 돌봄교실을 통한 안정적인 돌봄 제공으로 학부모 만족도 향상
나눔과 채움의 교육복지
- 균등한 교육기회 제공으로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교육복지 실현
- 문화다양성 교육과 맞춤형 교육으로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 역량강화
학부모부담 공교육비 지원
- 유아학비(누리과정) 지원
- 유치원(공립 32원, 사립 11원) 교육비 및 방과후과정비 지원
- 유아학비지원시스템(e-유치원) 운영 - 저소득층 컴퓨터 및 인터넷 통신비 지원으로 다양한 교육 기회 제공
- 저소득층 교육정보화 지원(PC, 인터넷 통신비): 관내 초·중학교 학생 지원 - 유치원부터 특수학교까지 무상급식 지원
- 저소득층 교육비 지원
- 현장체험학습비 지원
- 중·고등학교 신입생 전체 교복 지원(1인당 30만원 현물) - 고등학교 전학년 무상교육 실시
- 맞춤형 교육급여 지원
더불어 잘사는 문화다양성 교육
- 모든학생 대상 다문화이해교육 활성화
-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운영
- 한국어학급 한국어 통합교육과정 운영 지원
- 지역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프로그램 운영 지원
- 탈북학생 맞춤형 교육지원 프로그램 운영 지원
지역 중심 적정규모학교 육성
- 지역 중심 적정규모학교 육성
- 작은학교 공동(일방)학구제 운영: 5교(초 3, 중 2)
- 지역상생학교 일방학구제 운영: 초 9교
- 찾아가고 싶은 농산촌 특색학교 조성: 3교(초 2, 중 1)
- 유치원 9원(9대), 초등학교 23교 36대(직영 9대, 임차 16대, 택시 11대), 중학교 2교 7명[택시 1대(2명), 통학비 5명]
상생하는 교육복지
- 사회적기업 제품·중증장애인 생산품 의무구매
-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운영
- 교육복지우선지원학교(꿈나래형 7교, 꿈누리형 7교) 운영 지원
- 교육복지우선지원학교 사업담당자 컨설팅, 모니터링, 협의회, 연수 실시
- 지역과 함께하는 교육복지 공동사업 운영 - 평생교육 지원
- 학원 및 교습소 정보공개: 459개소
- 불법사교육신고센터를 통한 불법 교습행위 근절: 지도점검 220개소
- 학원 강사 채용(해임), 폐원(소) 신고 절차 간소화: One-Stop 민원서비스 16건
예산 운영 계획
(단위: 천원)
추진사업 | 예산 | 집행액 | 비고 |
---|---|---|---|
학부모부담 공교육비 지원 | 351,220 | ||
더불어 잘사는 문화다양성 교육 | 0 | ||
적정규모학교 육성 지원 | 2,201,710 | ||
공립 유·초 통학차량 및 중학교 통학 지원 | 1,742,219 | ||
상생하는 교육복지 | 0 | ||
계 | 4,295,149 |
기대효과
- 유아학비, 급식비 지원으로 학부모 교육비 부담 경감
- 저소득층 교육비 지원으로 저소득층 학생에 대한 안정적인 교육복지 제공
- 교육정보화 지원을 통한 정보화 교육의 기회균등 실현
- 다문화·탈북학생의 학교 적응 및 친화적 교육환경 구축
- 소규모학교의 교육과정 및 학교운영, 교육재정의 비효율성 등을 해결하기 위한 적정규모학교 육성
- 통학 불편 학교(유치원, 중학교)에 통학 편의를 제공하여 교육여건 개선
- 활발한 공공구매로 사회적약자기업 활성화 및 중증장애인의 직업재활·일자리 창출에 기여
- 학원 등 지도·감독으로 건전한 운영을 유도하여 사교육비 경감에 기여
- 친절, 공정, 신속한 업무처리로 민원인의 편익 제공
- 정보담당자
- 교육과
유초등교육팀
043-850-0601
- 교육과
- 인쇄자정보
- 출력일 : 2021-03-08 02:16:51 출력자 : 손님 출력IP : 44.192.112.123